[태그:] 피부백과
단극성 고주파 (monopolar RF)
•
단극성 고주파란? 단극성 고주파 (모노폴라 고주파, monopolar radiofrequency, monopolar RF) 란 고주파 전류를 이용해 피부 안쪽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이용해 진피층의 콜라겐을 변성시키고, 변성된 콜라겐이 재생되면서 피부의 밀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피부과 영역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주로 진피층의 탄력을 개선하여 잔주름, 모공, 피부결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단극성 고주파 장비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 (HIFU)
•
고강도 집속 초음파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란 초음파의 에너지를 한 곳에 집중시켜 특정 깊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해 피부에 칼이나 바늘을 대지 않고도 내부 조직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HIFU 장비는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한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원형 탈모 (alopecia areata)
•
원형 탈모는 만성 자가면역 질환의 하나로, 원인을 알 수 없는 면역반응에 의해 털이 만들어지는 모낭에 대한 염증반응이 나타나면서 발생합니다.
습진 (eczema)
•
습진이란? 습진(濕疹, eczema)이란 한자로 젖을 습 / 마마 진 을 사용하여 표면이 축축한 모양의 발진을 표현한 단어입니다. 다시 말해 습진은 진물이 나오는 피부 발진의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 다양한 피부병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원인도 매우 다양합니다. 사실 습진이라는 용어는 정의가 분명하지 않고 실제로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혼동을 주는…
비강진 (pityriasis)
•
비강진이란? 비강진(粃糠疹, pityriasis)이란 한자로 쭉정이 비 / 겨 강 / 마마 진 을 사용하여 작고 얇은 각질이 떨어지는 모양의 발진을 표현한 단어로, 우리말로는 잔비늘증이라고 합니다. 비강진은 보통 피부에 약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발진으로, 다양한 피부병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피부병은 이렇게 피부 발진의 모양에 따라서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같은…
동전모양 습진 (nummular eczema)
•
동전모양 습진은 주로 팔다리에 동전같이 동그란 모양으로 진물이 나오는 발진이 나타나는 피부병입니다. 동전모양 습진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의 하나로,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면역반응에 의해 피부에 염증반응이 나타나면서 발생합니다.
건선 생물학적제제 (psoriasis biologics)
•
생물학적제제란 생물체에서 가져온 물질이나 생물체를 이용해서 만든 물질이 포함된 의약품을 말합니다. 건선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제제의 종류, 효과, 비용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어루러기 (pityriasis versicolor)
•
어루러기는 주로 가슴, 등, 겨드랑이에 얇은 각질이 덮인 흰색 또는 갈색 반점이 나타나는 피부병입니다. 어루러기는 말라쎄지아 곰팡이균 때문에 발생하는 감염성 피부질환으로, 날씨가 덥고 습한 여름에 심해집니다.
백색 비강진 (pityriasis alba)
•
백색 비강진은 주로 얼굴과 목에 각질이 얇게 덮인 희미한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 피부병입니다. 백색 비강진은 대부분 12세 이전에 발생하며, 치료를 하지 않아도 보통 1년 안에 서서히 없어집니다.
장미색 비강진 (pityriasis rosea)
•
장미색 비강진은 주로 몸의 중심부에 얇은 각질이 덮인 작은 연분홍색 발진이 나타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입니다. 장미색 비강진은 주로 감염성 원인에 우리 몸이 반응해 이차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합니다.